한북정맥
강원도와 함경남도 경계를 이루는 평강군 추가령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흐르는 줄기로서 한강과 임진강 사이를 뻗어 내린
산줄기임. 한반도 13정맥의 하나로 추가령에서 남서로 갈라져 능선 동쪽으로는 화양, 화천, 가평, 남양주등의
한강유역이 있고 줄기의 서쪽으로는 평강, 철원, 포천, 양주등 임진강 유역을 가로지르는 산줄기이다.
주요산으로는 북쪽으로는 백암산, 양쌍령, 적근산이있고 남쪽으로는 대성산, 수피령, 하호현, 광덕산, 백운산, 국망봉, 강씨봉,
견치봉, 청계산, 운악산, 죽엽산, 한강봉, 사패산, 도봉산, 노고산, 현달산, 고봉산, 장명산등이있으며
한강 하류에서 그 맥이 멈춘다.
한남정맥
경기도 안성 칠장산에서 김포의 문수산을 넘어 김포 보구곳리(강화대교)까지 이어지는 약170~180Km의 산줄기이며 비교적
산고도가 200~300M의 낮은산으로 이어지며 가장 높은산으로는 광교산(582)이 있으며 중간중간이 도시화 되어있어
산행을하다 끊기는 구간이 많으므로 산행을 하는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뒤따르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도 산꾼들은 마다않고 도시를 관통하며 산행을 하는데 이또한 새료운 묘미를 느낄수 있으며 주요산으로는 도덕산, 국사봉, 달기봉, 구봉산, 문수봉, 함박산, 부아산, 석성산, 형제봉, 광교산, 백운산, 수리산, 수암봉, 운흥산, 양지산, 성주산, 거마산,
철마산, 만월산, 철마산, 원적산, 계양산, 가현산, 학운산, 문수산이 있으며 김포의 보구곳이레서 그 끝을 맺는다
금북정맥
백두대간의 줄기가 남쪽으로 뻗어내려와 속리산 천황봉 한남금북정맥으로 분가하여 내려오다 칠장산(492)에서
금북정맥과 한남정맥으로 나뉘어지며 금북정맥의 줄기는 칠장산에서 서남쪽으로 뻗어흐르며 충남태안반도의 안흥진까지
금강의 서북쪽을 지나는 줄기이며 길이는 약 250~260Km이며 주요산으로는 칠장산, 칠현산, 청룡산, 성지산, 광덕산, 차류령,
국사봉, 백월산, 오서산, 보개산, 월산, 수덕산, 가야산, 팔봉산, 백화산, 지령산을 거쳐 안흥진에서
금북정맥의 맥이 끝을 맺습니다.
금남정맥
완주와 진안군의 경계인 주화산에서 시작하여 서북진을하며 뻗어가는 줄기이며 전북과 충남의 경계지역을 오르락내리락하다
충남부여의 낙화암 옆 조룡대에까지 이르는 줄기이며 총길이는 118~125Km에 이르며 주요산으로는 전북과 충남의 경계인
연석산, 운장산, 장군봉을지나며 싸리재를 분기점으로 동북방향으로 줄기를 뻗어 대둔산을거쳐 충남에 위치한 백암산,
인대산, 바랑산, 월성봉, 바랑산, 계룡산을지나 부여의 금성산을 지나 부소산성의 낙화암 옆 조룡대에서 그 끝을 맺는다.
금남호남정맥
호남정맥과 금남정맥을 백두대간 줄기에 연결해주는 아주 대단히 중요한 줄기이며 남쪽의 섬진강 북쪽의 금강의 분수령이되며 전북 장수의 장안산에서 시작을 하여 서북쪽으로 뻗어 무주의 주화산까지 약 65~70Km에 이르는 줄기이며
주요산으로는 장안산(수분현), 팔공산, 성수산, 마이산, 부귀산으로 이어져 무주의 주화산까지 이르는 줄기입니다.
한남금북정맥
백두대간 줄기가 북에서 남으로 힘차게 내려가다 속리산 천황봉에서 분기하여 경기도 안성에 있는 칠장산까지 이어지는
거의 약 152~160Km에 이르는 줄기이며 주요산으로는 속리산 천황봉, 서원산, 시루산, 구봉산, 국사봉, 선두산, 선도산, 상당산, 구녀산, 좌구산, 칠보산, 보광산, 돈산, 보현산, 소속리산, 마이산, 황색골산, 도솔산을 거쳐 안성 칠장산에서 끝을 맺습니다.
호남정맥
금남호남정맥의 종착지인 주화산에서 갈라져 남서방향으로 흐르다 내장산을 만나며 내장산에서 계속 남진을 하여
장흥의 재암산에 이르며 다시 남해를 끼고 동북쪽으로 진행을하다 백운산까지 이르는 줄기로서 거리는 약 380~420Km에
이르는 백두대간 줄기의 약 절반에 이르는 큰줄기이며 어느정맥에 비하여 높이나 길이에서는 단연코 앞서고 있습니다.
주요산으로는 주화산, 오봉산, 묵방산, 내장산, 백암산, 상왕봉, 천왕산, 봉화산, 가지산, 용두산, 주월산, 백이산, 고동산, 바랑산, 갓꼬리봉, 도솔봉, 백운산등 주요명산에 약 60여개에 이르는 크나큰 산이 즐비하게 자리잡고 있으며
수도권에서 산행을 하시려면 당일산행보다는 무박산행을 하시어 약 25구간으로 나누어 산행을 하는것이 좋을것입니다.
낙동정맥
강원도 태백산맥의 줄기인 구봉산에서 남쪽으로 뻗어 부산 다대포항의 물운대까지 이르며 길이는 약 360~380Km에 이르는
거리상으로는 호남정맥에 필적할 만한 줄기이며 동해안 줄기를 끼고 계속 남진을 하는관계로 조망은 단연코 제일 앞설것입니다.
산줄기의 동쪽으로는 울진, 영덕, 포항, 경주, 울산, 부산등 동해안의 유명 해수욕장과 백사장이 즐비한 관계로 맘껏 조망을
즐길수 있고 서쪽으로는 내륙지방으로서 태백, 봉화, 영양, 영천, 경산, 김해가 위치해 있으며 주요산으로는 백병산, 백령산,
주왕산, 주사산, 운주산, 사룡산, 단석산, 가지산, 취서산, 원적산, 금정산등 경남지방의 유명산이 즐비하게 나열되어 있으며
마지막으로 부산 다대표항 옆 물운대에서 마루금이 멈춰진다.
낙남정맥
지리산 영신봉에서 시작하여 남쪽으로 흐르다 김해에 분성산에서 멈추며 길이는 약 290~310Km에 이르는 대단히 긴 줄기이며
이 산줄기의 남쪽으로는 하동, 사천, 삼천포, 고성, 마산, 창원, 김해가 위치해있고 주요산으로는 옥녀산, 천금산, 무량산, 불모산등 수도권에서는 생소한 이름이 있는 산으로서 낙남정맥 구간에는 잡초군락이 무성해 산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나 이곳 역시 산행을 하는 사람으로서는 기필코 가보아야 할곳이므로 이 코스 역시 수도권에서는 당일 산행으로는 용이하지 않으므로 무박산행으로 계획을 수립하여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산 행 > 산행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산복 (0) | 2010.11.20 |
---|---|
백두대간 (0) | 2010.11.12 |
국립공원에 케이블카 설치 '초읽기' (0) | 2010.10.30 |
[스크랩] 경춘선 무궁화호 열차시각표(2010. 10. 21 개정) (0) | 2010.10.24 |
국립공원 단풍 70선 (0) | 2010.10.20 |